본문 바로가기

남자닷컴 - 남자들의 취미 공유 온라인 플랫폼 캠핑 밀리터리

쇼핑몰 검색

오늘

4,695

어제

23,418

최대

52,219

전체

10,817,330

benner gatorz
  • 푸터로고
  • 주소 김포시 태장로 751 217

    사업자 등록번호 105-17-89685

    대표자명 김인영

    대표전화 031-912-5554

    팩스 031-916-5554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6-고양일산서-0869호

    이메일 mirad1920@naver.com

    개인정보보호책임자 홍영석


    @ Manslife

남자들의 취미 공유 플래폼
남자닷컴
이제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나보세요!

IOS 다운로드 버튼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버튼

많이본뉴스 [인구절벽] 50년뒤 생산인구 반토막…연금고갈시점 당겨질수도(종합)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빅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3,696회

작성일 19-03-29 13:41

남자닷컴 군인인증 이벤트남자닷컴 군인인증 이벤트

본문

[인구절벽] 50년뒤 생산인구 반토막…연금고갈시점 당겨질수도(종합)

50년새 15~64세 3천757만명→1천784만명…소비·투자 등 성장 악영향
고령인구 부양비 18.8→102.2명…”경제 움직이는 연령대 감소”
‘인구오너스’ 앞당겨질 우려…군 인력구조 변화 등 대비 필요

(세종=연합뉴스) 이세원 이대희 기자 = 저출산과 고령화로 국가 생산활동의 ‘엔진’인 생산연령인구가 50년 뒤 현재의 절반 아래로 줄어들 것이라는 정부 전망이 나왔다.

50년 뒤에는 노동자 1명이 고령인구 여럿을 부양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한다.

이러한 ‘인구절벽’ 가속화는 고용과 생산, 소비, 투자 등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쳐 경제 활력을 발목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db5072615f62e963483dc6919211055c_1553834445_92.jpg

저출산 고령화[연합뉴스TV 제공]

◇ 한국 생산활동 엔진출력, 50년 뒤 절반 아래로 ‘뚝’

통계청은 28일 ‘장래인구 특별추계 : 2017∼2067년’을 발표했다. 통계청은 5년마다 장래인구추계를 발표하지만, 초저출산 상황을 반영해 2016년에 이어 3년 만에 특별추계를 했다.

추계에 따르면 한국의 생산연령인구는 2017년 3천757만명에서 2030년 3천395만명으로 감소한 뒤, 2067년 1천784만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2067년에는 2017년의 47.5%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통계청은 이번 추계부터 15∼64세 인구를 의미하는 용어인 ‘생산가능인구’를 생산연령인구로 변경했다.


db5072615f62e963483dc6919211055c_1553834445_9518.jpg

통계청은 특히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고령인구로 진입하는 2020년대에는 생산연령인구가 연평균 33만명 감소하고, 2030년대에는 연평균 52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인구절벽’이 2020년대부터 본격화한다는 의미다. 인구절벽이란 미국 경제학자 해리 덴트가 제시한 개념으로, 생산연령인구의 비율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한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30년대 감소 폭이 더 큰 이유는 1970년대 생인 2차 베이비붐 세대가 생산연령인구에서 대거 빠져나가는 동시에 진입하는 출생아 수는 과거보다 더 적어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생산연령인구 감소 추세는 2016년 추계 때보다 더 악화한 것이다. 통계청은 당시 2065년 생산연령인구가 2천62만명(47.9%)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번 추계에서는 1천850만3천명(45.9%)이라는 더 비관적인 수치를 내놨다.

통계청은 생산연령인구 중 주요 경제활동인구인 25∼49세의 비중이 2017년 51.9%(1천950만명)에서 2067년 46.1%(823만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봤다.

반면 같은 기간 50∼64세의 비중은 30.8%(1천156만명)에서 39.4%(703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추계는 중간 수준의 출산율에 따라 전망한 중위 추계다. 낮은 출산율을 가정한 저위 추계에 따르면 2067년 생산연령인구는 1천484만명으로 2017년의 39.5%로 추락할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 50년 뒤 노동자 1명이 고령인구 여러 명 부양해야

'인구절벽' 텅 빈 놀이터와 노인들로 붐비는 공원

‘인구절벽’ 텅 빈 놀이터와 노인들로 붐비는 공원[연합뉴스 자료사진]

생산연령인구가 더 빨리 줄어든다는 의미는 65세 이상 고령인구 증가세도 그만큼 빨라진다는 의미다.

통계청은 고령인구가 2017년 707만명에서 2025년 처음으로 1천만명을 넘어서고, 2050년에는 1천901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고령인구 구성비는 2017년 13.8%에서 2025년 20%, 2036년 30%, 2051년 40%를 각각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는 2017년 60만명에서 2024년 100만명을 넘고, 2067년에는 512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2017년에서 2067년까지 8.6배 증가한다는 의미다.

반면 어린 세대 인구는 감소한다.

유소년인구(0∼14세)는 2017년 672만명(13.1%)에서 2030년 500만명(9.6%), 2067년 318만명(8.1%)까지 계속 감소한다.

학령인구(6∼21세)도 2017년 846만명에서 2067년 363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특히 대학진학 대상인 18세 인구는 2017년 61만명에서 2030년 46만명으로 76% 감소할 전망이다.

김진 과장은 “대학 정원이나 학교 수, 교원 수와 같은 관련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하고 고령인구가 늘어나면 노동자 한 사람이 부양해야 하는 사람 수도 자연스레 더 늘어나게 된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유소년·고령인구)인 ‘총부양비’는 2017년 36.7명에서 2038명 70명을 넘어서고 2056년에는 100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2067년에는 120.2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특히 고령인구 부양비를 의미하는 ‘노년 부양비’는 2017년 18.8명에서 2036년 50명을 넘어서고, 2067년에는 102.4명을 기록할 전망이다.

다시 말해 2067년에는 노동자 한 사람이 고령인구 한 사람 이상의 생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수인 노령화지수는 2017년 105.1명에서 2026년 206명, 2056년 502.2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2056년부터는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5배 이상 많아진다는 예측이다.

총부양비 역시 2016년 추계보다 증가 속도가 더 가팔라졌다. 통계청은 2065년 기준으로 당시에는 108.7명으로 예상했지만, 이번에는 117.8명을 제시했다.

◇ 인구 오너스 더 빨라져…구조적 저성장 우려

추천

0

비추천

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퍼펙트시스템 에어컨 판매 설치 이전설치 중고에어컨퍼펙트시스템 에어컨 판매 설치 이전설치 중고에어컨

Commen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https://franchise-news.co.kr/ 남자닷컴과 협력관계인 프랜차이즈 뉴스
Total 2,401건 24 페이지
게시물 검색
퍼펙트시스템 에어컨 판매 설치 이전설치 중고에어컨퍼펙트시스템 에어컨 판매 설치 이전설치 중고에어컨